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근대사상,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공리주의 : Utilitarianism

본문

반응형

2) 공리주의(utilitarianism)

 

행위의 기준을 󰡐최대다수의 최대행복󰡑, 즉 사회의 최대다수 구성원의 최대한의 행복을 구하는 윤리정치관. 주로 19세기 영국에서 유행한 윤리로서, 정치학설에서 공중적 쾌락주의(universalistic)와 같은 뜻이다. 목적론적(目的論的) 윤리의 한 형태이지만, 이기적이 아니라 보편적이며, 또 내면적 윤리에 대해서 사회적외면적 도덕의 경향을 나타낸다. 1718세기의 고전경험론(古典經驗論)과 신학자고전경제학자, 19세기의 급진주의자에게서 이 주의를 찾아볼 수 있으나, 이를 단순명쾌하게 정식화한 사람은 J.벤담이며, J.S.밀 부자(父子)에 의해서 계승되었다. 또 밀 이후에도 진화론적 윤리학 및 H.시지윅, G.E.무어, 현대 영국 분석철학자의 규범의식(規範意識) 속에서도 그 경향이 보인다. 벤담과 밀은 행복과 쾌락을 동일시하였는데, 벤담은 쾌락의 계량가능성(計量可能性)을 주장하고 쾌락계산의 구상을 내건 󰡐양적(量的) 쾌락주의자󰡑였으나, 밀은 쾌락의 질적(質的) 차이를 인정하여 󰡐질적 쾌락주의󰡑의 입장을 취하였으며, 또 내면적인 동기양심자기도야(自己陶冶)의 중요성도 인정하여, 심정도덕(心情道德)완성설(完成說)에 접근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응형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