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신플라톤주의 (Neo-Platonism)
플라톤의 전통에 입각하여 2~6세기에 유럽에서 흥성하였던 그리스 철학의 일파를 가리키는 사상사(思想史)의 명칭. 창시자는 암모니오스 사카스(175?~242)이고, 대성자(大成者)는 플로티노스(205?~270)이며, 그 밖에 아멜리오스․포르피리오스․이암블리코스․테오드로스․프로클로스 등이 잘 알려졌다. 만물의 본원인 일자(一者)로부터 모든 실재가 계층적으로 유출하여, 보다 낮은 계층은 그 상위의 것을 모방하며, 보다 복잡․불완전하다. 또 만물은 관조(觀照)에 의해 일자에 계층적으로 되돌아가려고 애쓴다. 이 상하 두 방향에의 운동이 실재를 구성한다는 것이다. 인간도 이 운동에 의해 감각적인 것을 벗어나 일자로 향하며, 이것과의 직접적인 합일, 즉 탈아(脫我)의 경지에 도달하기를 희구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 사상은 형성기에 있던 그리스도교에 받아들여져 오리게네스, 니사의 그레고리우스 등 교부(敎父)뿐만 아니라, 후의 그리스도교 사상에 중대하고도 근본적인 영향을 끼쳤다.
중세사상, 아우구스티누스의 학파 교부철학 : Patristic Philosophy (0) | 2017.07.04 |
---|---|
중세사상, 중세철학 개관 : Medieval Philosophy (0) | 2017.07.04 |
헬레니즘 및 로마시대, 쾌락주의와 금욕주의 : Hedonism and Asceticism (0) | 2017.07.04 |
헬레니즘 및 로마시대, 만물의 본성에 대하여를 쓴 에피쿠로스 학파 : Epicurean school (0) | 2017.07.04 |
헬레니즘 및 로마시대, 구체성과 개별성을 중요시하는 스토아학파 : Stoicism (0) | 2017.07.04 |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