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llis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Hollis

메뉴 리스트

  • 홈
  • 분류 전체보기 (1374)
    • 일상...정보 (83)
      • 언어공부 (0)
      • 생활정보 (3)
      • 다양한 공부 (80)
    • 찬양...악보 (805)
      • 찬송가 (645)
      • C코드 찬양 (22)
      • D코드 찬양 (21)
      • E코드 찬양 (21)
      • F코드 찬양 (13)
      • G코드 찬양 (36)
      • A코드 찬양 (29)
      • B코드 찬양 (13)
      • 해외찬양 (5)
    • 신학...공부 (485)
      • 교회사 (75)
      • 서양철학사 (56)
      • 존칼빈 기독교강요 (95)
      • 교리연구 (184)
      • 성경연구 (75)

검색 레이어

Hollis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신학...공부/교리연구

  • The Heidelberg Catechism

    by 会彬2

  •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 제52주일 : 유혹, 아멘

    by 会彬2

  •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 제51주일 : 죄사함

    by 会彬2

  •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 제50주일 : 일용할 양식

    by 会彬2

  •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 제49주일 : 하나님의 뜻

    by 会彬2

  •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 제48주일 : 하나님 나라

    by 会彬2

  •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 제47주일 : 거룩

    by 会彬2

  •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 제46주일 : 하늘에계신 우리 아버지

    by 会彬2

The Heidelberg Catechism

The Heidelberg Catechism Introduction The Heidelberg Catechism, the second of our doctrinal standards, was written in Heidelberg at the request of Elector Frederick III, ruler of the most influential German province, the Palatinate, from 1559 to 1576. This pious Christian prince commissioned Zacharius Ursinus, twenty-eight years of age and professor of theology at the Heidelberg University, and ..

신학...공부/교리연구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 제52주일 : 유혹, 아멘

제 52 주일 제 127문. 여섯 번째 청원은 무엇입니까? 답. "우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오히려 우리를 악한 자에게서 구하여 주십시오". 곧 이 청원은 "우리는 너무나 연약하여서 스스로의 힘으로 한순간도 서 있을 수 없습니다.[1] 게다가, 우리의 불구대천의 원수 곧 마귀와[2] 세상과[3] 우리 자신의 육체[4]가 끊임없이 우리를 공격합니다. 그러므로 당신께서 성령의 능력으로 우리를 유지시키시고, 강하게 하사, 이 영적 전쟁에서[5] 우리가 최종적으로 완전한 승리를 얻기까지 패배당하지 않게 해주십시오"라고 구하는 것이다.[6] [1] 시 103:14-16; 요 15:1-5. [2] 고후 11:14; 엡 6:10-13; 벧전5:8. [3] 요 15:18-21. [4] 롬 7:23; 갈 5:1..

신학...공부/교리연구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 제51주일 : 죄사함

제 51 주일 제 126문. 다섯 번째 청원은 무엇입니까? 답. "우리가 우리에게 빚진 자들을 사해 주었듯이, 우리에게도 우리의 빚들을 사해 주옵소서." 곧 이 청원은 "그리스도의 피의 공로로 말미암아, 불쌍한 죄인인 우리에게 우리의 모든 범죄와 우리에게 항상 달라붙어 있는 악을 전가시키지 마시고,[1] 우리가 당신의 은혜에 대한 이 증거를 자기 자신 가운데서 발견함으로서, 우리의 이웃을 전심전력으로 용서하도록 충분히 결심하게 해 주십시오."라고 구하는 것입니다.[2] [1] 시 51:1-7; 시 143:2; 롬 8:1; 요일 2:1,2. [2] 마 6:14,15; 마18:21-35.

신학...공부/교리연구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 제50주일 : 일용할 양식

제 50 주일 제 125문. 네 번째 청원은 무엇입니까? 답. "우리가 일용할 양식을 오늘 우리에게 주소서." 곧 이 청원은 "우리의 모든 육신적인 필요를 채워주셔서,[1] 하나님 당신께서 모든 선의 유일한 근원이라는 것과,[2] 하나님 당신의 축복없이는 우리의 노고와 근심, 그리고 하나님 당신의 선물도 우리에게 어떤 선도 될 수 없다는 것을 깨닫게 하여 주십시오.[3] 그 결과로 우리가 모든 피조물에 대해 우리의 신뢰를 두지 말고, 오직 하나님 당신께만 우리의 신뢰를 두게 하여 주십시오"라고 구하는 것입니다.[4] [1] 시 104:27-30; 145:15, 16; 마 6:25-34. [2] 행 14:17; 17:25; 약 1:17. [3] 신 8:3; 시 37:16; 127:1, 2; 고전 15:58..

신학...공부/교리연구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 제49주일 : 하나님의 뜻

제 49 주일 제 124문. 세번째 청원은 무엇입니까? 답. "당신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게 하소서"란 것입니다. 곧 이 청원은 "우리와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뜻을 부정하고, 어떤 불평도 없이 하나님의 뜻을 순종하게 해주소서. 왜냐하면 당신의 뜻만이 선하기 때문입니다."[1]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직분과 소명을[2] 하늘의 천사들처럼 자발적이며 신실하게 감당할 수 있게 해 주소서"[3]라고 구하는 것입니다. [1] 마7:21; 16:24-26; 눅 22:42; 롬 12:1-2; 딛 2:11-12; [2] 고전7:17-24; 엡 6:5-9; [3] 시 103:20-21 계 22: 17, 20.

신학...공부/교리연구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 제48주일 : 하나님 나라

제 48 주일 제 123문. 두 번째 청원은 무엇입니까? 답. 두 번째 청원은 "당신의 왕국이 임하소서"입니다. 곧 이 청원은 "우리가 당신께 더욱 더 순종할 수 있도록 말씀과 성령으로 우리를 다스려 주소서."[1] "당신의 교회를 보존시켜 주시고, 성장시켜 주소서."[2] "사단의 공작과 당신께 대항하여 일어나는 모든 세력과 당신의 말씀을 거역하는 모든 음모를 파괴시켜 주소서."[3] "당신의 나라가 충만히 임하여, 거기서 당신께서 모든 것 안에서 모든 것이 되실 때까지 이 모든 일을 행하소서."라고 구하는 것입니다.[4] [1] 시 119:5, 105; 143:10; 마 6:33. [2] 시 51:18; 122:6-9; 마 16:18; 행 2:42-47. [3]롬 16:20; 요일 3:8. [4] 롬..

신학...공부/교리연구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 제47주일 : 거룩

제 47 주일 제 122문. 첫 번째 청원은 무엇인가? 답. "당신의 이름이 거룩하게 되소서"입니다. 이 청원은 먼저, "우리가 당신을 바르게 알도록 해주시고,[1] 당신이 당신의 전능하신 능력과 지혜와 선하심과 의와 자비와 진리가 빛나는 당신의 모든 사역 안에서 거룩하게 되시고, 영광받으시고, 찬양받으소서"라고 구하는 것입니다.[2] 이 청원은 또한 "당신의 이름이 우리 때문에 더럽혀지지 않고, 항상 높임을 받고, 찬양받으실 수 있도록 우리가 우리의 전체 생활 곧 우리의 생각과 말과 행동을 다스리게 하소서"라고 구하는 것입니다.[3] [1] 렘 9:23,24; 31:33,34; 마 16:17; 요 17:3. [2] 출 34:5-8; 시 145; 렘 32:16-20; 눅 1:46-55,68-75; 롬 1..

신학...공부/교리연구

하이델베르크 교리문답 - 제46주일 : 하늘에계신 우리 아버지

제 46 주일 제 120문. 그리스도께서는 왜 우리에게 하나님을 '우리 아버지'라고 부르도록 명령하셨습니까? 답. 그 이유는 우리 기도의 맨 처음부터 우리 기도의 기초가 되는 하나님께 대한 신뢰와 어린아이와 같은 경외하는 마음을 우리 안에서 깨닫게 하기 위함입니다. 즉 하나님께서 그리스도를 통하여 우리의 아버지가 되심과 지상의 우리 부모가 이 지상의 것들을 우리에게 거절하지 아니하는 것 이상으로 하나님 아버지께서 우리가 믿음으로 구하는 것을 거절하지 않으시기 때문입니다.[1] [1] 마 7:9-11; 눅 11:11-13. 제 121문. 왜 "우리 아버지"란 말에 "하늘에 계신"이란 말을 덧붙여야 합니까? 답. 우리가 이 말을 하나님의 천상적인 위엄을 지상적인 방식으로 생각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며,[1]..

신학...공부/교리연구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쿠팡파트너스

강원평창수 무라벨 생수, 2L, 36개
24,000원

강원평창수 무라벨 생수, 2L, 24개

크리넥스 3겹화장지, 30개입
19,900원

크리넥스 데코앤소프트 3겹 화장지, 27m, 30개입, 1개
반응형

페이징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3
다음
HOLLIS
Hollis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